태그 : 문화재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

1 2 3

중건된 문화재를 중건이라 부르지 못하고........

본격 간만에 또 쓰는 선동글.....얼마전 또다시 네이버 기사검색을 하던 도중에 또 눈에 들어오는 기사를 하나 발견했다. 오오 네이버 오오"조선 대표적 건물인 방화수류정 (화홍문) 중건"1932년 5월 9일자 동아일보 기사기사를 찬찬히 읽어보니, 수원 화성의 북 수문인 화홍문이 1922년에 수해로 무너졌다가, 1932년 5월에 중건했다는 것이다. 수원 ...

그런데, 그러고보니.....

이전에 콘크리트 광화문 이야기를 썼을 때, 고고학자 삼불 김원룡 선생의 충공깽스런 광화문 이용방안에 대해 짧게 언급한 바 있었다. 그 부분은 이전에 김원룡 선생의 전집물에서 처음 읽었다가 퍽 놀랐었던 기억이 난다.그런데 생각해보니, 일제강점기는 그렇다고 치더라도, 해방 이후에 활동했던 1세대 역사학자/고고학자들이 한국의 문화유산이라는 것을 놀랄 정도로 ...

남대문 복원을 전통방식으로 한다더니 역시 말 뿐이었나?

오늘 황평우 선생의 홈페이지에 아주 간만에 들렸다.황평우 선생의 주장이나 그 분이 벌이고 있는 문화재 반환운동은 (감히 얘기 꺼내기도 뭣한 천학인) 내가 생각하는 원칙과는 많이 다르지만, 최소한 한 가지 내가 그 분과 의견을 같이 하는게 있다면 그건 바로 대한민국 문화재 복원사업이 개판 오분전이라는 점이다.그분이 최근 남대문 (숭례문) 복구현장의 가림막...

2010년 12월 10~12일 전라북도 고창 알바 후기....(다량의 떡밥 함유!)

지금은 지워버렸습니다만, 지난 12월 11일 저녁, "모종의 이유로 전라북도 고창에 내려와 있다"는 글을 썼었지요. 그 후로 한동안 그 이야기를 쓰려고 쓰려고 했는데 차일피일 미루다 결국은 근 한달이 다 되어서야 이렇게 올리게 됩니다.이 모든 것은 지난 12월 초, 지금은 퇴갤하신 自XX愛님의 전화를 받은 것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 분이 현재 일하고 ...

(짧은 잡담) 주말에 간송미술관을 다녀왔습니다.

지난 토요일에 여자친구와 같이 성북동 간송미술관엘 다녀왔더랩니다. 거기서 화훼영모전 특별전을 보았지요. 전시된 작품들은 좋았습니다. 모처럼 본 김홍도의 고양이 그림이나 실물로는 처음 본 공민왕의 이양도, 현재 심사정과 이징의 그림들 등등.어느 전시나 늘 가면 있는, 그림 구경은 안하고 제목 적어가기만 바쁜 사람들 땜에 좀 짜증나기도 했...

문화재청 비판 - "'박영효 가옥' 실제 주인은 친일파 민영휘", 근데, 그래서?

연합뉴스 기사링크 : 박영효 '가옥' 실제 주인은 친일파 민영휘며칠 전에 늘상 하던대로 이곳저곳의 문화재청 관련 뉴스를 들여다보다 이걸 발견했다. 이걸 보고 분노 게이지가 또 올라갔다. 자꾸 흥분하면 별로 좋을 일이 없는데. 일단 학계에서 수십년 간 통설로 자리잡았다는 '사실'을 다시금 정정하겠다는 것은 환영한다. 물론 그 전에, 경성...

경복궁관리소/지광국사현묘탑 삘소리를 듣고 급히 쓰는 글.....

일제시대 관련 뉴스 둘 - 밀리 환초 학살, 경복군 관리소 건물오늘 슈타인호프님이 쓰신 저 포스팅을 통해 저 소식을 처음 접했다. 몇 시간 지나지 않아서 이번에는 YTN에서 저 내용을 가지고 금방 보도를 내더군.일단, 민주당 정장선 의원이 지적하고 있는 저 문제의 경복궁 관리소가 어떤 건물인지부터 좀 살펴보자.일제가 뻗친 검은 손길의 흔적, 경복궁 관리...

9월 4일 경복궁나들이 - 그리고 곳곳에서 본 한숨나는 광경들....

지난 9월 4일, 여자친구와 함께 모처럼 경복궁으로 나들이를 갔다. 새로 복원된 광화문도 보고, 국립민속박물관에도 오랫만에 들르고, 그리고 데이트도 할 겸, 여러가지를 겸사겸사한 셈이다.  그런데 아니나 다를까, 새로 복원된 광화문은 물론이거니와, 이전부터 누누이 지적한대로 곳곳에서 한숨 나게 하는 광경이 펼쳐졌다.아래, 사진과 함께 간단히 글...

콘크리트 광화문이 탄생하기까지의 우여곡절을 되돌아보며.....

콘크리트 광화문이여, 굳빠이.(1968. 12. 12. ~ 2006. 12. 4) (* 원래 15일에 올릴 예정으로 그날 저녁부터 작성하던 글이었지만, 저간의 사정으로 인해 퍽 늦은 지금에야 올리게 된다. 중간에 구글 크롬의 오류로 몇번 썼던 내용을 날려먹기도 했고.)(** 여기 소개한 사진과 신문기사 자료들 다수는 문화재연구가 이순우 선생님의...

경복궁 자선당 유구의 현주소........(문화재 반환에 대한 단상-2)

1995년 12월 31일, 경복궁 한 켠에, 무게 107톤 분량의 때묻은 돌더미가 나무 상자에 담겨 운반되었다. 그것은, 1915년에 일본 상인 오쿠라 기하치로 (大倉喜八郎, 1837 ~ 1928)에게 매각되어 일본 도쿄로 옮겨졌다가, 1923년의 관동대지진으로 불타버린 경복궁 자선당 기단부의 잔해였다.(* 자선당이 겪은 수난은 이미 ...
1 2 3